본문 바로가기
글로벌 경제흐름 알아가기

관세트럼프 시즌2 16화

by 2conomist_ 2025. 2. 26.
728x90

▣ Before 지경학적 블록화 주요국 지수

▷트럼프 정부 상호관세 부과 순차적으로 실시 특히 대중 관세는 양국  입장의 구조적 불일치등  고려 27년까지 미국의 단계적으로 인상(EIU)

트럼프 대통령은 3/4일 멕시코와 캐나다 25%관세를 4/2일로 연기 발표(백악관은 3/4일 관세부과 여전히 유효 언급)

 연준은 고용과 물가안정이  주된 책무로 경제가 강하게 유지되는 한 제약적 정책유지

ECB슈나벨 이사는 유럽경제가 직면한 구조적 문제가 금리인하로 해결 어려움과 더불어 무역전쟁 개전으로 불확실성 증가 및 여전히 남아있는 지정학적 리스크

 

    2/26  2/25 전일대비
  나스닥 19,075.26 19.026.39 0.26%
주가 유로스톡50 5,530.55 5,452.55 1.43%
  니케이225 38,148.50 38,225.50 -0.20%
  상해종합 3,380.21 3,346.04 1.02%
  코스피 2,641.09 2,630.29 0.41%

 

▣ 기축통화의 상관성 : Before 기축통화에 대한 도전과 응전

  □  환율 변동의 구조적 틀

   경제적 요인, 정치적 요인, 기술적 요인, 중앙은행의 정책과 시장 참여자들의 예측과 기대

 □ 중장기 변수의 상수화 가능성 요인들

  ●달러화 기반 결제 약화를 위한  BRICS의 암중모색

  글로벌 사우스(남반구신흥국과 북반구 저위도 제3개발도상국)의 역할기대 및 가능성

    공동결제시스템과 결제기구등 구축으로 신흥국 대표로 구심적 역할로써 부각의 여지, 아프리카가 첨단원자재 공급처로 중요성이 커질 가능성으로 중국은 아프리카의 원자재 점유율 포함 시 70% 상당함

 

 단기적 요인

  달러화 지수는 美 금리인하 및 각국의 관세전쟁의 늪으로 빠져들어가는 형세로 그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사슬의 재편화 과정에 있음

    2/26 2/25 전일대비
  달러지수 106.415 106.20 0.18
환율 유로/달러 1.0485 1.0515  
  달러/엔 149.08 149.04 0.05%
  달러/원 1,434.80 1,430.45 0.13%

                                                                                           자료:Investing.com(美 시장기준)

 

▣ 경제의 도로 금리

 □ 국채를 변화시키는 구조적 틀

수요와 공급의 인플레이션이 완화또는 상승되는 국면이 지속할 것인가의 여부

통화정책으로 국공채 매입매각,재할인율의 매입매각, 지급준비율과 정책금리의 인상인하 여부

 연준의 양적긴축(QT),양적완화(QE)D의 실시와 철회시점

경제성장률로 경기 침체시 중앙은행의 단기금리 조정 시 국채수익률 곡선의 변화여부

재정정책으로 대규모 재정정책시 장기금리 상승압력이 가 할 수도 

 

    2/26 2/25 전일대비
  3M 4.30% 4.29% 1bp
미국 국채 2Y(통화정책에 민감) 4.07% 4.09% -2bp
  10Y(경기와 펀더멘털) 4.25% 4.29% -4bp

 

▣ 지경학적 리스크로 파급정도,지속기간,반전가능성의 여부

 그들은 무엇을 그리고 그려가고 그려야만 하는가? 그리고 무엇을 지우고 지워야만 하는가?

 

   □ 상수 요인들

    ▷트럼프 대통령 가자지구 팔레스타인 주민들 인근 국가로 이주후 재건 계획 그러나 인근 국가들은 강력한 반대 성명발표

      트럼프 정부는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 폐기언급, 파리기후조약 및 WHO 탈퇴 이에 반해 중국 및 BRICS(1O개국)및 상하이 협력기구 회원국 확대하고 있음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안보 기술 패권에 대한 강한 의지와 자국 우선주의

 

 □ 변수들

 美-러시아 평화협상 중

  우크라이나와 유럽배제한 협상은 선제적 진행된 상태이고 결과물로 美-러시아 고위급 협의체 구성 협의 이달 27일 영국 총리와 정상회담에서 전쟁 종전 및 관세이슈를 다룰 것으로 예정

 

유럽+, 미국과의 관계 악화 시 독자적인 미래 구축의 가능 여부

 유럽은 NATO 군사비 증액에 대한 압박으로 유럽위원회는 EU 방위비 지출을 늘리도록 하는 재정규칙을 조정할 계획이며 유럽의 방어를 위한 영국과 프랑스의 핵무기를 활용한 유럽 대륙방어를 논의 중에 있으며 우크라이나에 평화유지군 파병 언급

 또한 독일의 차기 총리는 최대 2000억 유로 규모의 특별국방 예산 논의

 

MAGA에 의한 제2기 팍스아메리카 夢

 美-中 펜타닐 보건분쟁이 경제무역 이슈를 넘어서 정치와 사회 그리고 안보이슈를 엮어서 미국 시민들로 하여금 인식의 틀로 자리 잡을 가능성 

 

 주요 원자재들

  금

  금 가격은 금리와 역의 상관관계(즉 금 보유의 기회비용의 증가로 수요감소와 가격하락, 美 금리 상승은 일반적으로 달러 가치 상승으로 이어져 금 가격 하락을 보였음)를 보이던 과거 패턴과 달리 2022년 미 기준 금리 상승 시작 후 현재까지 금 가격상승 현상이 지속됨 이는 금을 통한 헤지 수요가 증가로 트럼프 정부 상호관세 여파를 최소화 차원에서 각국 중앙은행들의 매입거래들이 늘어난 상황에 더해서 금 투기자금 유입과 더불어 수요증가 또한 금 전체 생산비 증가로 가격 상승을 부추기고 있음

 

유가(WTi)

  석유의 공급측면에서 비 OPEC(미국 캐나다등) 생산량 확대와 OPEC+ 점차적인 감산완화에 따른 초과공급 수요측면에서 중국 부동산 건설경기 하강에 따른 수요 둔화

 정책측면에서는 미국등 서방국가들이 러시아 및 이란제재 강화에 따른 공급차질 우려, 미국 기준금리 인하 지연 등이다

 재고측면에서 석유재고는 석유공급증가와 상대적 약한 수요 증가세로 2025년 중반 이후 재고 누적될 전망

 시추리그수로 보면 세일 유전의 노후화로 시추리그수 감소의 누적영향 및 미완결 유정수 감소 시추비용증가로 생산량 감소가 예상되나 향후 트럼프 정부의 에너지 주도권 확보 차원에서 시추리그수 증각가 예상됨

 

천연가스

 수요는 LNG 수출 중심으로 증가하였으나 공급은 시추리그수 증가세 정체되었음 그리고 계절성 요인으로 동절기 난방용 가스 증가세로 재고 감소

 

구리

  구리 수입에대해서 무역확장법 223조에 따라 조사실시 행정명령 서명 향후 관세부과 가능성 염두

 

    2/26 2/25 전일대비
  S&P500 VIX 19.10 19.43 -1.70%
  WTI 68.86 69.05 -0.15%
원자재 2,931.70 2,928.60 0.44%
  32.233 32.053 1.28%
  구리 4.5808 4.6968 -2.71%
  천연가스 3.957 4.137 -4.19%
  미국 대두 1,024.50 1,031.25 -0.53%

 

 어제와 오늘의 뉴스 파급력과 대응도

 

▣ 관세부과의 파급효과로 글로벌 공급망 가치 사슬의 구조적 변경 파악

  사회구조적 측면에서 선진국의 보호 무역주의 확대, 글로벌 성장률 저하, 물가상승, 환율의 불안등

통화측면에서  관세부과는 물가를 높여 금리인하의 정책지연 및 금리인상 압력으로 작용할 소지

부가세가 관세로 인식되면 자유무역협정으로 관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상호관세부과가능 이는 EU를 타깃 그리고 멕시코 캐나다등 통한 우회수출, 정부 차원으로 보조금 규제는 중국을 염두한 조치

 

자동차(4.2일 시행), 반도체, 의약품에 수입관세 부과

  자동차 산업은 외국산 중간재를 많이 투입되는 분야로 비용 상승으로 생산성 둔화를 초래하고 소비자에게 가격이 전가되어 물가상승을 유발 그리고 기업들이 이익률 전망은 부과기간에 따라서 펀더멘털 요인으로 전환될 소지

  

중국 선사의 선박 혹은 중국산 선박의 미국 입항 시 수수료 부과 방안 검토

이는 전 세계에 디플레이션을 수출하는 행태를 그만두어야 한다고 강조

 

중국 경기의 추세적 하강

  주택 산업 불황의 장기화와 유휴 생산설비 과다 (이에 제조업체의 생산거점을 해외로 이전 중) 등 중국 정부의 부동산 산업 성장 전략에서 기술 산업 성장 전략으로 전환함으로 부동산 경기의 회복 속도는 느려질 것 이는 중국 경제의 특성 중 하나로 새로운 혁신 기술이 개발 시 정부주도 기술 인전과 막대한 보조금 지원 그리고 혹독한 경재을 통해서 비용절감으로 최적화된  기업탄생 예로 딥시크

  미국과의 무역 마찰 확대는 FDI유입 축소세를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 러시아는 유럽의 우크라이나 파병 강하게 반대

 

 

▷ US,Ukraine agree to terms of cirtical  minerals deal  by Reuters

it does not specify any US security guarnantees or continued flow of weapons but says that the United Stanes wants Ukraine to be"free, sovereign and secure."

 

 

 

 

 

 

 

 

 

'글로벌 경제흐름 알아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세트럼프 시즌2 18화  (0) 2025.03.01
관세트럼프 시즌2 17화  (1) 2025.02.27
트럼프 관세 시즌2 15화  (0) 2025.02.25
트럼프관세 시즌2 14화  (0) 2025.02.24
트럼프관세 시즌2 13화  (0) 2025.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