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장에서는 모양과 형태만 변하는 것처럼 보일 뿐 인간이 본성은 변하지 않기에 과거에 일이 다시금 반복된다
▣ Before 지경학적 블록화 주요국 지수
▷ 트럼프 정부 보편관세와 상호관세를 순차적으로 실시 특히 대중국 관세는 양국 입장이 구조적 불일치등 2027년까지 미국이 단계적 인상(EIU)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은 모든 국가에 대한 관세 정책을 4/1일 무역 적자원인 조사 결과 후 결정할 것 언급
이에 대해 EU, 중국은 보복관세 반격조치를 실시, 관세부과가 유로존 스테플레이션 초래 시 ECB는 성장보다 물가대응에 초점 가능성(Barclays)
▷ ECB 슈나벨 이사는 유럽경제가 직면한 구조적 문제가 금리인하로 해결에 어려움과 더불어 무역 전쟁의 시작으로 불확실성증가 및 여전히 남아있는 지정학적 리스크(EU 집행위원장 폰데어라이엔은 유럽은 빠르게 재무장 필요성 언급)
3/4 | 3/3 | 전일대비 | ||
나스닥 | 18,285.16 | 18,350.19 | -0.35% | |
주가 | 유로스톡50 | 5,397.05 | 5,539.75 | -2.58% |
니케이225 | 37,318.50 | 37,823.50 | -1.34% | |
상해종합 | 3,324.21 | 3,316.93 | 0.24% | |
코스피 | 2,528.92 | 휴장 | -0.15% |
▣ 기축통화와 상관성 : Before 기축통화에 대한 도전과 응전
□ 환율 변동의 구조적 틀
경제적 요인, 정치적 요인, 기술적 요인, 중앙은행의 정책과 시장 참여자들의 예측과 기대
□ 중장기 변수의 상수화 가능성 요인들
○ 달러화 기반 결제약화를 위한 BRICS의 암중모색 중
○ 글로벌 사우스(남반구 신흥국과 북반구 저위도 제3개발도상국)의 역할 기대 및 가능성
공동결제시스템과 결제기구등 구축으로 신흥국 대표로 구심적 역할로서 부각의 여지
아프리카 첨단원자재 공급처로 중요성이 커질 가능성으로 중국은 아프리카의 원자재 점유율을 포함 시 70% 상당함
□ 단기적 요인
달러화지수는 美 금리인하 및 각국 관세전쟁의 늪으로 빠져들어가는 형세로 그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사슬의 재편화 과정에 있음
3/4 | 3/3 | 전일대비 | ||
달러지수 | 105.510 | 106.470 | ||
환율 | 유로/달러 | 1.0624 | 1.0488 | |
달러/엔 | 149.78 | 149.50 | ||
달러/원 | 1,453.85 | 1,458.75 | -0.28% |
자료:Investing.com(美 시장기준)
▣ 경제의 도로 금리
□ 국채를 움직이게 하는 구조적 틀
수용와 공급의 인플레이션이 완화 또는 상승되는 국면이 지속할 것인가의 여부
통화정책으로 국공채 매입매각, 재할인율의 매입매각, 지급준비율과 정책금리의 인상인하 여부
연준의 양적긴축(QT)과 양적완화(QE)의 실시와 철회시점
경제성장률로 경기 침체 시 중앙은행의 단기 금리 조정 시 국채수익률 곡선의 변화여부
재정정책으로 대규모 재정정책시 장기금리 상승압력을 가 할 수도
○ 최근 경제지표로 인한 스테그플레이션의 우려와 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 이는 최근 금리하락이 보편관세 및 상호관세로 기인
3/4 | 3/3 | 전일대비 | ||
3M | 4.31% | 4.30% | 1bp | |
미국 국채 | 2Y | 3.99% | 3.95% | 4bp |
10Y | 4.24% | 4.15% | 9bp | |
30Y | 4.54% | 4.45% | 9bp |
▣ 지경학적 리스크의 파급정도, 지속기간, 반전 가능성의 여부
그들은 무엇을 그리고 그려가고 그려야만 하는가? 그리고 무엇을 지우고 지워야만 하는가?
□ 상수 요인들
트럼프 대통령은 가자지구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인근 국가로 이주후 재건계획 그러나 인근 국가들은 강력한 반대성명 발표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안보기술 패권에 대한 강한 의지와 자국 우선주의 정책들
트럼프 정부는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인 워크 (IPEF) 폐기언급, 파리기후 조약 탈퇴 및 WHO 탈퇴 이에 반해 중국 및 BRICS(10개국)및 상하이 협력기구는 회원국 확대하고 있음
□ 변수들
美-러시아 평화협상 중
美-러시아 고위급 협의체 구성 협의
유럽+, 미국과의 관계악화 시 독자적인 미래 구축의 가능 여부
유럽은 NATO 군사비 증액에 대한 압박으로 유럽위원회는 EU 방위비 지출을 늘리도록 재정 규칙을 조정할 계획이며 유럽의 방어를 위한 영국과 프랑스는 핵무기를 활용한 유럽 대륙 방어를 논의 중에 있으며 우크라이나에 파병 언급
독일 총리는 최대 2000억 유로 규모의 특별 국방 논의
EU 美 없는 안보 시스템 구축, 범 유럽 방어체계 목표 언급
MAGA에 의한 제2기의 팍스아메리카 夢
美-中 펜타닐 보건 분쟁이 경제 무역 이슈를 넘어서 정치와 사회 그리고 안보 이슈를 엮어서 미국 국민들에게 인식의 틀러 자리 잡을 가능성
주요 원자재
금
금 가격은 금리와 역의 상관관계(즉 보유의 기회비용의 증가로 수요감소와 가격하락, 美 금리상승은 일반적으로 달러 가치상승으로 이어져 금 가격 하락을 보였음)를 보이던 과거 패턴과 달리 2022년 美 기준 금리 상승 시작 후 금 가격 상승 현상이 지속됨 이는 금을 통한 헤지 수요 증가로 트럼프 정부 보편 상호관세 여파를 최소화 차원에서 각국 중앙은행의 매입거래들이 늘어난 상황에 더해서 금 투기 자금 유입과 더불어 수요증가 또한 금 전체 생산비 증가로 가격 상승을 부추기고 있음
유가(WTI)
석유의 공급측면에서 비 OPEC(미국 캐나다등) 생산량 확대와 OPEC+ 점차적인 완화에 따른 초과공급
수요측면에서 중국 부동산 건설 경기 하강에 따른 수요 둔화
정책측면에서 미국등 서방국가들이 러시아 (러시아 제재 해제 기대감 고려) 및 이란 제재강화에 따른 공급차질우려,
미국 기준 금리인하 지연,美 관세 시행 등
재고측면에서 석유재고는 석유공급증가와 상대적 약한 수요 증가세로 2025년 중반 이후 재고 누적될 전망
시추리그수 수로 보면 세일 유전의 노후화로 시추리스수 감소의 누적영향 및 미완결 유정수 감소 시추 비용증가로 생산량 감소가 예상되나 향후 트럼프 정부의 에너지 주도권확보 차원에서 시추리그수 증가 예상됨
천연가스
美 수요는 LNG 수출 중심으로 증가하였으나 공급은 시추리그수 증가세 정체되었음 그리고 계절성 요인으로 동절기 난방용 가스 증가세로 재고 감소
유럽 천연가스가격은 러-우 전쟁 종전 기대등 추위에도 하락세
곡물시장 고려사항
농업기상여건
美,러시아 겨울밀 지역한파및 가뭄 ,아르헨티나 가뭄 지속, 라니냐(태평양 적도 해수면 온도) 약화등
美 겨울밀 재배지역의 기온 평년 크게 하회 기후 스트레스가 증가
아르헨티나의 재배지역의 가뭄으로 옥수수와 대두의 품질및 생산에 피해가 우려
미국의 대두 수출(23년) 중국(56%)과 멕시코(5%) 차지 이들이 보복관세(중국)부과
3/4 | 3/3 | 전일대비 | ||
CBOE VIX | 23.51 | 22.78 | 3.20% | |
WTI | 68.04 | 68.48 | -0.57% | |
원자재 | 금 | 2,928.20 | 2,904.15 | 0.93% |
은 | 32.570 | 32.268 | 0.80% | |
구리 | 4.5808 | 4.5908 | -0.57% | |
천연가스 | 4.301 | 4.164 | 4.34% | |
미국 대두 | 1,001.75 | 1,010.75 | -0.91% |
어제와 오늘의 뉴스의 파급력과 대응도
왜 지금, 무엇과 무엇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그리고 다음은?
▣ 관세부과의 파급효과로 글로벌 공급망 가치 사슬의 구조적 변경파악
사회구조적 측면에서 선진국 보호무역주의 확대, 글로벌 성장률 저하, 물가상승, 환율 불안등
통화측면에서 관세부과로 물가를 높여 금리인하의 정책지연 및 금리인상 압력으로 작용할 소지
부가세가 관세로 인식되면 자유무역협정으로 관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상화관세 부과가능 이는 EU를 타깃
멕시코 캐나다등 우회수출, 정부 차원으로 보조금 규제는 중국을 염두한 조치
트럼프 관세는 세수확보를 위해 고안된 준영구적 조치로 보이며 협상의 도구가 아닌 보편관세가 실행가능성 높음 이에 대해 EU, 중국은 보복관세와 반격의 조치(중국에 20% VS 미국산 농산물 10~15%,캐나다는 미국산 수입품에 보복관세 발효)
▣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목재등 수입관세 부과
자동차 산업은 중간재를 많이 투입되는 분야로 비용 상승으로 생산성 둔화를 초래하고 소비자에게 가격이 전가되어 물가상승을 유발 그리고 기업들이 이익률 전망이 부과기간에 따라서 펀더멘털 요인을 전환될 소지
▣ 중국 경기의 추세적과 순환적 요인
주택 산업불황의 장기화의 유휴 생산설비 과다등중국 정부 부동산 산업 성장전략에서 기술 산업전략으로 전환함으로 부동산 경기의 회복 속도는 느려질 것으로 예상
미국과 무역마찰 확대는 FDI 유입 축소세를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 Trump pauses all US military aid to Ukraine after clash with Zelenskiy(Reuters)
Minerals deal not dead, says Trump
EU Commission proposes joint borrowing as part of 800 billion euro defence plan
위 내용에 근거하여 투자행위등에 대하여 일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경제 흐름을 보는 관점을 키우고자 합니다.
'글로벌 경제흐름 알아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세트럼프 시즌2 22화 (0) | 2025.03.07 |
---|---|
관세트럼프 시즌2 21화 (2) | 2025.03.06 |
관세트럼프 시즌2 19화 (2) | 2025.03.03 |
관세트럼프 시즌2 18화 (0) | 2025.03.01 |
관세트럼프 시즌2 17화 (1) | 2025.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