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장의 흐름 속에서 모양과 형태가 변하는 것처럼 보여도 인간의 본성이 변하지 않기에 과거의
일이 반복되곤 한다.
▣ Before 지경학적 블록화 주요국 지수
▷ 트럼프 정부는 보편관세(3/12~)와 상호관세(4/2~자동차등) 순차적으로 실시
백악관 국가 경제위원장은 모든 국가에 대한 관세정책을 4/1일 무역적자 원인을 조사 결과 후 결정할 것 언급
이에 대해 중국, 캐나다, EU(4/1,4/13~) 보복관세 실시
▷ ECB 슈나벨 이사는 유럽 경제가 직면한 구조적 문제가 금리인하로 해결에 어려움, 무역 전쟁의 시작으로
불확실성 증가, 여전히 존재하는 지정학적 리스크
▷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는 트럼프 정부의 정책들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확인 하려면 수개월의
시간이 필요하며 그때 까지 현행 금리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고 언급
3/17 | 3/14 | 전일대비 | ||
나스닥 | 17,808.66 | 17,754.09 | 0.31% | |
주가 | 유로스톡50 | 5,446.35 | 5,411.25 | 0.78% |
니케이225 | 37,429.00 | 37,053.10 | 0.95% | |
차이나50 | 13.662.69 | 13,670.85 | -0.06% | |
코스피 | 2,610.69 | 2,566.36 | 1.73% |
▣ 기축통화와 상관성: Before 기축 통화에 대한 도전과 응전
□ 환율 변동의 구조적 틀
경제적 요인,정치적 요인, 기술적 요인, 시장 참여자들의 기대와 예측
□ 중장기 변수의 상수화 가능성 요인들
○ 달러화 기반의 약화를 위한 BRICS의 암중모색 중
○ 글로벌 사우스(신흥국 남반구와 북반구 저위도 제3개발도상국)의 역할 기대와 가능성
공동결제시스템과 결제기구등 구축으로 신흥국 대표로 구심적 역할로서 부각이 여지
아프리카의 첨단공급처로 중요성이 커질 가능성으로 중국은 아프리카의 원자재 점유율을 포함 시
70% 상당함
□ 단기적 요인
달러화 지수는 美 금리인하 및 각국의 관세전쟁의 늪으로 빠져들어가는 형세로 그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의 사슬의 재편화 과정에 있음
3/17 | 3/14 | 전일대비 | ||
달러지수 | 103.040 | 103.710 | ||
환율 | 유로/달러 | 1.0922 | 1.0879 | |
달러/엔 | 149.23 | 148.62 | ||
달러/원 | 1,443.68 | 1,450.62 |
자료:Ivesting, com(美 시장기준)
▣ 경제의 도로 금리
□ 국채를 움직이게 하는 구조적 틀
○ 수요와 공급의 인플레이션의 완화 또는 상승 국면이 지속할 것인지 여부
○ 통화정책으로 국공채의 매입매각, 재할인율의 인상인하, 지급준비율과 정책금리의 인상인하 여부
○ 경제 성장률로 경기 침체 시 중앙은행의 단기금리 조정 시 국채수익률의 곡선의 변화 여부
○ 재정정책의 대규모 재정정책시 장기 금리의 상승압력을 가 할 수도
3/17 | 3/14 | 전일대비 | ||
3M | 4.29% | 4.29% | ||
미국 국채 | 2Y | 4.04% | 4.02% | 2bp |
10Y | 4.30% | 4.31% | -1bp | |
10Y(독일) | 2.82% | 2.87% | -5bp | |
10Y(일본) | 1.48% | 1.50% | -2bp | |
30Y | 4.59% | 4.62% | -3bp |
▣ 지경학적 리스크와 파급정도, 지속기간, 반전 가능성의 여부
그들은 무엇을 그리고 그려가고 그려야만 하는가? 그리고 무엇을 지우고 지워야만 하는가?
□ 상수 요인들
트럼프 대통령은 가자지구 팔레스타인들은 인근 국가로 이주후 재건 계획 그러나
인국 국가들은 강력한 반대의사 표명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안보기술 패권에 대한 강력한 의지 이를 뒷받침하는 자국 우선주의 정책들
트럼프 정부는 인도 태평양 경제 프레임 워크 폐기 언급, 파리기후조약 및 WHO 탈퇴
이에 반해 중국 및 BRICS와 상하이 협력기구들은 회원국 확대하고 있음
□ 변수들
美-러시아 종전 협상 중
우크라이나는 美가 제안한 30일 임시휴전 가능, 러시아는 동의하나 조건 제시로 다시금 美로
유럽+, 미국과 관계악화 시 독자적인 미래 구축가능 여부
EU는 美없는 안보 시스템 구축, 범 유럽방어체계(영국과 프랑스 핵무기로) 발표
트럼프 대통령 덴마크령 그린란드 매입의사
그린란드는 유라시아 대륙과 북미 대륙의 중간 거점의 중요성, 풍부한 광물자원
(희토류 매장량 8위), 지구 온난화로 열릴 북극항로에 대한 주도권 확보 차원
▣ 주요 원자재 시장 여건 고려사항들
금
금의 수요(보석산업, 기술산업, 투자(기), 중앙은행)와 수요(천연자원으로 공급이 제한적, 비탄력적)로 파악
달러화의 강세와 약세 여부
금은 달러화로 거래되고 가치 저장수단 금이 화폐가치를 일부 대신하기에 달러화는 금 가격을 설명하는
주요 변수, 금이 인플레이션을 헤지 하는 상품이기에 물가상승률과 동행하는 경향
정책적 요인으로 美 기준금리
지정학적 리스크 발생여부(러-우전쟁, 이-하마스전쟁)
경제의 불확실성 여부(경기 침체우려와 금융시장의 불안전성, 펜데믹)
유가(WTI)
공급 측면에서 비 OPEC와 OPEC+ 생산량 확대와 감산의 여부, 세일 유전의 증감
수요 측면에서 공급 국가들의 제재 변수(미국 러시아와 이란 제재), 중국의 부동산 경기
재고 측면에서 공급과 수용의 변화분 만큼의 증감
정책 측면에서 청정에너지, 현 美 정부의 에너지 주도권 확보 정책들
천연가스
수요는 LNG와 PNG 수요량, 공급은 시추리그수 증감, 계절절 요인으로 동절기 난방용 증감으로 재고 파악
곡물시장
주요국 지역한파 및 가뭄, 태평양 적도의 해수면 온도, 파종시기 및 수확량에 따른 품질등
3/17 | 3/13 | 전일대비 | ||
CBOE VIX | 20.51 | 21.77 | -5.79% | |
WTI | 67.27 | 67.18 | 0.54% | |
원자재 | 금 | 3,010.00 | 3,001.10 | 0.30% |
은 | 34.408 | 34.433 | 0.07% | |
구리 | 4,9775 | 4.8960 | 1.66% | |
천연가스 | 4.005 | 4.104 | -2.41% | |
소맥 | 568.60 | 557.00 | 2.08% |
▣ 어제와 오늘의 뉴스 파급력과 대응도
▣ 관세부과의 파급효과로 글로벌 공급망 가치사슬의 구조적 변경파악
사회구조적 측면에서 선진국의 보호주의 확대, 글로벌 성장률 저하, 환율 불안등
통화 재정측면에서 세수는 확보되나 물가를 높여 금리인하의 정책지연 및 금리 인상의
압력으로 작용할 소지
부가세가 관세로 인식되면 자유 무역협정으로 관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상호관세 가능
▣ 정부 효율부 연방정부 인력 감축
▣ 미시간대 소비자 심리지수 전월치 (64.7) 대비 59.9로 하회
▣ FOMC 회의 개최(3.18~19), 향후 금리인하 궤적 변화 여부등
OECD 경제전망 발표( 세계경제성장률 3.3%)
EU 정상회의 (3.20~21)
Trump says he will speak with Putin on Tuesday about ending war in Ukraine.(Reuters)
Russia's econpmy would struggle to cope with peace. (Reuters)
Trump trade wars are slowing global growth and fuelling inflation , says OECD
Cutting its global growth forcast for this year from 3.3% to 3.1%
오늘 마음 다지기와 생각의 폭 넓히기
People are not lazy. They just have impotent goals, that is goals that do not inspire them. -Anthony Robbins
사람들은 게으르지 않다. 다만 무기력한 목표를 갖고 있을 뿐이다 영감을 부여하지 않은 그런 목표들 말이다.
거자불추 내자불거(去者不追 來者不拒)
가는 사람을 붙들지 말고 오는 사람을 뿌리치지 말라.
위 내용에 근거한 투자행위 등 일절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글로벌 경제흐름 알아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세트럼프 시즌2 28화 (4) | 2025.03.17 |
---|---|
관세트럼프 시즌2 27화 (1) | 2025.03.14 |
관세트럼프 시즌2 26화 (1) | 2025.03.12 |
관세트럼프 시즌2 25화 (1) | 2025.03.12 |
관세트럼프 시즌2 24화 (2) | 2025.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