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efore 지경학적 블록화 주요국 지수
▷트럼프 상호관세 (4월경) 계획 협상의 여지도 부여등 시장의 반응은 미온적
▷ 연준 파월의장 양호한 경제성장과 목표(연율 2%) 상회하는 인플레이션 신속한 금리인하 필요 없다 언급
▷ 연준은 고용과 물가안정이 책무로 경제가 강하게 유지되는 한 제약적 정책유지 첨언
▷ ECB 슈나벨 이사 유럽경제가 직면한 구조적 문제가 금리인하로 해결 어려움, 무역갈등에 따른 불확실성 증가 언급
→ 유로스톡 50은 방위관련주 주도로 사상최고가 연일 갱신 중
2/17 | 2/14 | 전일대비 | ||
나스닥 | 휴장 | 20,026.77 | ||
주가 | 유로스톡50 | 5,519.75 | 5,491.25 | +0.48% |
니케이225 | 39,204.50 | 39,164.50 | +0.10% | |
상해종합 | 3,355.83 | 3,346.72 | +0.27% | |
코스피 | 2,610.42 | 2,591.05 | 0.75% |
▣ 기축통화의 상관성: Before 기축통화에 대한 도전과 응전
□ 환율 변동 요인들
● 경제적 요인
● 정치적 요인
● 기술적 요인
● 중앙은행의 정책과 시장 참여자들의 예측과 기대
===========================================================================================
▣ 중장기 변수의 상수화 가능성 요인들
● 달러화 기반 국제 결제 약화를 위한 BRICS의 암중모색
● 글로벌 사우스(남반구 신흥국 및 북반구저위도 제3개발도상국)의 역할기대 및 가능
-공동결제 시스템과 결제기구등 구축으로 신흥국 대표로 구심점 역할 부각 여지
-아프리카 첨단원자재 공급처로 중요성 커질 전망(아프리카포함 시 중국의 원자재 점유율 70%)
===========================================================================================
□ 단기적 요인
달러화지수는 금리인하 지연 및 각국 무역갈등 확산에 염려
2/17 | 2/14 | 전일대비 | ||
달러지수 | 106.72 | |||
환율 | 유로/달러 | 1.05 | ||
달러/엔 | 152.29 | 152.24 | 0.03% | |
달러/원 | 1,443.20 | 1,441.90 | 0.09% |
▣ 경제의 도로 금리
□ 국채를 움직이는 요인들
수요 공급 인플레이션: 완화 계속 국면을 지속할 것인가의 여부
통화정책: 국공채 매입매각, 재할인율 인상인하, 지급준비율 인상인하, 정책금리 인하인상
양적긴축(QT), 양적완화(QE): 연준의 양적긴축/ 양적완화의 실시와 철회시점
성장률: 경기 침체 시 중앙은행의 단기금리의 조정 시 수익률 가팔라질 수도
금융안전성:금융시스템에 불안정 조짐시 수익률 곡선이 가팔라질 수도
재정정책: 대규모 재정정책 지속 시 장기금리 상승압력을 가 할 수도
2/17 | 2/14 | 전일대비 | ||
3M | 4.32% | 4.32% | ||
미국국채 | 2Y | 4.26% | 4.26% | |
10Y | 4.49% | 4.47% | 2bp |
▣지경학적 리스크:파급정도(ㅂㅌㄷ) →지속기간(sL) ↔반전가능성(ㅈㄷ)
□ 상수 요인들
▷트럼프 가자지구 팔레스타인 주민 인근 국가로 이주후 재건 추진
◁사우디 이집트 UAE 카타르 요르단 등 중동 주요국 (2.20) 이주계획 논의 예정
▷ 트럼프 대통령 상호관세 부과조치
▷ 크럼프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폐기 언급, 파리기후조약, WHO 탈퇴
▷ 트럼프 2기 외교정책은 덴마크 파나마 캐나다 멕시코등 여러 동맹국 대상으로 강압적 외교전재
◁ 중국 및 BRICS(10개국) 및 상하이협력기구(10개국) 회원국 확대
====================================================================================
□ 변수들
美 러시아 평화협상
-미국 측의 우크라이나 NATO 가입반대 및 빼앗긴 영토 수복불가등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배제한 협상 수용불가
→ 미국 휴전 후 안정보장 대가로 희토류 지분 50% 요구 (우크라이나 거절)
-벤스 부통령 러시아 평화협정 동의 않을 시 미군 파병검토와 모스크바 공격 가능 경고
유럽+, 미국과의 관계악화 시 독자적인 미래 구축 가능여부
-유럽위원회, EU 방위비 지출을 늘리도록 재정규칙 조정할 계획
-영국 스타머 총리 우크라이나에 평화유지군 파병가능 언급
=====================================================================================
□ 금 통한 헤지수요 증가
-트럼프 정부 관세여파로 최소한 차원에 금을 통해 헤지 하려는 거래들(각국 중앙은행 매입증가) 늘어난 상황
□ 유가(WTI)의 변동 요인들
공급측면
비 OPEC(미국 캐나다등) 생산량확대와 OPEC+ 점차적인 감산완화에 따른 초과공급
-OPEC+ 4월 시행 감산축소 연기 검토
수요측면
중국 수요 둔화 우려지속
정책측면
-미국등 서방국가들 러시아 및 이란 제재강화에 따른 공급차질우려
-미국 기준금리 인하지연
재고측면
-석유재고는 석유 공급증가와 상대적 약한 석유수요 증가세로 2025년 중반 이후 재고 누적될 전망
시추리그수
-세일 유전 노후화, 시추리그수 감소의 누적영향 및 미완결 유정수 감소, 시추비용 증가로 생산량 감소 예상되나 향후 트럼프 정부의 에너지 주도권 확보 차원에서 시추리스수 증가예상
□ 천연가스 변동요인들
수요는 LNG수출 중심으로 증가하였으나 공급은 시추리그수 증가세 정체되었음 그리고 계절성요인으로 동절기 난방용 가스 증가세로 재고 감소
2/17 | 2/14 | 전일대비 | ||
S&P500 VIX | 15.37 | 14.77 | 4.06% | |
WTI | 71.38 | 70.44 | 0.95% | |
원자재 | 구리 | 4.5940 | 4.6645 | -1.51% |
은 | 32.875 | 32.855 | 0.06% | |
금 | 2,911.20 | 2,900.70 | 0.36% | |
천연가스 | 3.601 | 3.725 | -3.33% | |
미국 대두 | 1,036.00 | 1,036.00 |
어제와 오늘의 뉴스의 파급력
▦ 관세부과의 파급효과
-선진국 신흥국 보호무역주의 확대등 글로벌 성장률 저하 물가상승 환율불안
- 통화측면에서 관세부과는 물가 높여 금리인하 정책지연 및 금리인상 압력으로 작용할 소지
- 부가세도 관세로 인식되면 자유무역협정으로 관세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상호관세부과 가능 이는 EU타깃
-멕시코 캐나다등을 통한 우회 수출과 정부차원의 보조금 규제는 중국을 염두한 조치로
▦ 자동차와 반도체 및 의약품 부분에 대한 수입관세 부과도 예정
-트럼프 대통령은 자국 국제비상경제권한헌법(IEEPA) 활용하여 의회승인 없이 관세부과 가능
-관세 현실화 시 자동차산업은 외국산 중간재를 많이 투입되는 분야로 비용상승으로 생산둔화를 초래하여 소비자에게 가격이 전가되어 물가상승을 유발
-기업들의 이익률 전망은 부과기간에 따라서 펀더멘털 요인으로 작용될 소지
▦ 중국 경기 추세적 하강대 정부 부양의지 국면
-주택산업불황과 유휴생산설비 과다등 중국 정부 부동산 주도 성장에서 기술 산업성장 정책전략의 전환으로 부동산회복에 어려움이 예상됨
←정부는 금리와 지급준비율등 정책 조치의 강도와 속도를 조절하여 유동성 확대를 통한 적절한 물가상승 유도하겠다고 함
▷ 중국 왕이 부장 미국의 일방적인 제재에 끝까지 대응할 것 발언
▷ 1월 FOMC 의사록 공개: 상반기 금리인하 속도, 경제 및 물가평가에 대한 코멘트에 관심
▷ 美기업의 부채증가 및 고금리와 관세등으로 가속화될 가능성
: 자본 부족으로 유연성이 부족한 중소기업 타격이 예상됨
▷ 러우 평화협정체결 시 천연가격 하락, 우크라이나 재건으로 건설, 산업재 에너지 집약산업 수혜예상
'글로벌 경제흐름 알아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세트럼프 시즌2 11화 (0) | 2025.02.19 |
---|---|
관세트럼프 시즌2 10화 (0) | 2025.02.18 |
관세트럼프 시즌2 8화 (0) | 2025.02.15 |
관세트럼프 시즌2 7화 (0) | 2025.02.13 |
관세트럼프 시즌2 6화 (0) | 202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