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efore 지경학적 블록화 주요국 지수
▷트럼프 상호관세 부과(3.12) 실시 계획으로 무역갈등 초래
→4월 이후 상호관세 부과할 계획 협상 여지도 부여
◁ EU 랑게 위원장 미국 협상 결렬 시 美빅테크 금융회사 상대로 지적재산권 일지 중지 조지계획 언급
◁ EU 멕시코 캐나다 미국의 철강 및 알루미늄 25% 관세부과에 상응 조치 취할 것 언급
▷ 연준 파월의장 양호한 경제성장과 목표(연율 2%) 상회하는 등 인플레이션 신속한 금리인하 필요 없다 언급
▷ 연준은 고용과 물가안정이 책무로 경제가 강하게 유지되는 한 제약적 정책유지 첨언
▷ ECB 슈나벨 이사 유럽경제가 직면한 구조적 문제가 금리인하로 해결어려움, 무역갈등에 따른 불확실성 증가언급
2/13 | 2/12 | 전일대비 | ||
나스닥 | 19,945.64 | 19,649.95 | +1.50% | |
주가 | 유로스톡50 | 5,498.35 | 5,406.35 | +1.71% |
니케이225 | 39,475.50 | 38,984.50 | 1.26% | |
상해종합 | 3,332.48 | 3,346.39 | -0.42% | |
코스피 | 2,583.17 | 2,548.39 | 1.36% |
▣ 기축통화의 상관성: Before 기축통화에대한 도전과 응전
□ 환율 변동 요인들
●경제적 요인
● 정치적 요인
● 기술적 요인
● 중앙은행의 정책과 시장 참여자들의 예측과 기대
=======================================================================================
▣ 중장기 변수의 상수화 가능성 요인들
● 달러화 기반 국제결제 약화를 위한 BRICS의 암중모색
● 글로벌 사우스(남반구신흥국 및 북반구 저위도 제3개발도상국)의 역할기대 및 가능
-공동결제시스템과 결제기구등 구축으로 신흥국 대표로 구심점 역할 부각 여지
- 아프리카 첨단원자재 공급처로 중요성 커질 전망(아프리카 포함 시 중국의 원자재점유율 70%)
========================================================================================
□ 단기적 요인
달러화지수는 금리인하 지연 및 무역분쟁 확산에 염려
2/13 | 2/12 | 전일대비 | ||
달러지수 | 106.97 | 107.890 | ||
환율 | 유로/달러 | 1.0465 | 1.0388 | |
달러/엔 | 152.85 | 154.44 | ||
달러/원 | 1,440.19 | 1,452.44 |
▣ 경제의 도로 금리
□국채금리를 움직이는 요인들
수요 공급 인플레이션: 완화 계속 국면을 지속할 것인가의 여부
통화정책:국공채 매각매입, 재할인율 인상인하, 지급준비율 인상인하, 정책금리 인상인하
양적긴축(QT), 양적완화(QE):연준의 양적긴축/양적완화의 실시와 철회시점
성장률: 경기 침체 시 중앙은행의 단기금리의 조정 시 수익률 가팔라질 수도
금융안정성:금융시스템에 불안정 조짐시 수익률 곡선이 가파라딜 수도
재정정책:대규모 재정적자 지속 시 장기금리 상승 압력을 가 할 수도
2/13 | 2/12 | 전일대비 | ||
3M | 4.32% | 4.33% | -1bp | |
미국 국채 | 2Y | 4.30% | 4.35% | -5bp |
10Y | 4.53% | 4.62% | -9bp |
▣ 지경정학적 리스크:파급정도(ㅂㅌㄷ) →지속기간(sL) ↔반전가능성(ㅈㄷ)
상수 요인들
▷트럼프 가자지구 팔레스타인 주민 인근 국가로 이 주 후 재건 추진
◁사우디아라비아등 주변국가들 반대성명 발표
▷ 트럼프 대통령 상호관세 부과 조치
▷ 트럼프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폐기 언급, 파리기후조약 WHO 탈퇴
◁ 중국 및 BRICS(10개국)및 상하이 협력기구(10개국) 회원국 확대
▷ 트럼프 2기 외교정책은 덴마크 파나마 캐나다 멕시코등 여러 동맹국 대상으로 강압적 외교전개
========================================================================================
변수들
美 무기지원등 우크라이나 주요 광물등 교환언급
→미국 측은 우크라이나의 NATO가입반대 및 빼앗긴 영토 수복불가 우크라이나 대통령 자국을 배제한 미-러평화협의
수용불가
=========================================================================================
금 통한 헤지 수요증가
트럼프 정부 관세 여파의 최소화 차원에서 금을 통해 헤지 하려는 거래들(각국 중앙은행 매입증가) 늘어난 상황
유가(WTI) 변동 요인들
공급측면
비 OPEC(미국 캐나다등) 생산량 확대와 OPEC+ 의 점차적인 감산완화에 따른 초과공급
정책측면
-미국등 서방국가들 러시아 및 이란 제재강화에 따른 공급차질 우려
- 미국 기준금리 인하 지연
수요측면
- 중국 수요 둔화 우려 지속
재고측면
-석유재고는 석유공급증가와 상대적 약한 석유수요 증가세로 2025년 중반 이후 재고 누적될 전망
시추 리그수
세일 유전 노후화 시추리그수 감소 누적영향 및 미완결유정수 감소 시추비용 증가로 생산량 감소 예상되나
향후 트럼프 정부의 에너지 주도권 확보차원에서 시추리그수 증가 예상
천연가스 변동 요인들
-수요는 LNG 수출 중심으로 증가
-공급은 시추 리그수 증가세 정체
- 계절성 요인으로 동절기 난방용 가스 증가로 재고 감소
2/13 | 2/12 | 전일대비 | ||
S&P500 VIX | 15.10 | 15.88 | -4.97% | |
WTI | 71.51 | 71.22 | +0.20% | |
원자재 | 구리 | 4.7845 | 4.6915 | +1.70% |
은 | 32.975 | 32.703 | +0.58% | |
금 | 2,957.20 | 2,928.95 | +0.97% | |
천연가스 | 3.653 | 3.544 | +2.47% | |
미국 대두 | 1,030.00 | 1,028.25 | +0.19% |
어제와 오늘의 뉴스 파급력
관세부과의 파급효과
- 선진국 및 신흥국의 보호무역주의 확대등 글로벌 성장률저하 물가상승 환율 불안등
- 통화정책측면에서 관세부과는 물가 높여 금리인하 정책지연 및 금리인상 압력으로 작용할 소지
자동차와 반도체 부분에 대한 수입관세 부과도 예정
- 트럼프는 자국 국제비상경제권헌법(IEEPA) 활용하여 의회승인 없는 관세부과 가능
- 현실화 시 자동차 산업은 외국산 중간재를 많이 투입되는 분야로 비용상승으로 생산둔화를 초래하여 소비자에게 가격전가 되어 물가상승을 유발
중국 경기 추세적 하강
주택산업불황과 유휴생산설비 과다등 중국 정부 부동산 주도 성장에서 기술 산업성장 전략으로 전환 부동산 회복 어려움
→ 금리와 지급준비율 등 정책 조치의 강도와 속도를 조절하여 유동성 확대를 통한 적절한 물가상승 유도하겠다고 함
유럽, 미국과의 관계 악화 고려하여 독자적인 미래 구축이 가능한가?
'글로벌 경제흐름 알아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세트럼프 시즌2 9화 (0) | 2025.02.17 |
---|---|
관세트럼프 시즌2 8화 (0) | 2025.02.15 |
관세트럼프 시즌2 6화 (0) | 2025.02.12 |
관세 트럼프 시즌2 5화 (0) | 2025.02.11 |
관세 트럼프 시즌2 4화 (0) | 2025.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