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efore 지경학적 블록화 주요국 지수
▷트럼프 상호관세 부과(3.12) 실시 계획으로 무역갈등 초래
◁ EU 랑게 위원장 미국 협상 결렬 시 美 빅테크 금융회사 상대로 지적재산권 일시 중지 조치 계획 언급
◁ EU 멕시코 캐나다 미국의 철강 및 알루미늄 25% 관세 부과에 상응조치 취할 것 언급
▷ 연준 파월의장 양호한 경제성장과 목표(연율 2%) 상회하는 등 인플레이션등 신속한 금리 인하 필요 없다 언급
▷ 연준은 고용과 물가 안정이 책무로 경제가 강하게 유지되는 한 제약적 정책 유지 첨언
▷ ECB 슈나벨 이사 유럽 경제가 직면한 구조적 문제가 금리인하로 해결에 어려움, 무역갈등에 따른 불확실성 증가 언급
2/12 | 2/11 | 전일대비 | ||
나스닥 | 19,649.95 | 19,714.27 | +0.03% | |
주가 | 유로스톡50 | 5,406.35 | 5,392.35 | +0.29% |
니게이225 | 38,984.50 | 38,801.17 | +0.47% | |
상해종합 | 3,346.39 | 3,318.06 | +0.85% | |
코스피 | 2,548.39 | 2,539.05 | +0.37% |
▣ 기축통화와 상관성: Before 기축통화에 대한 도전과 응전
□환율의 변동 요인들
●경제적 요인
● 정치적 요인
● 기술적 요인
● 중앙은행의 정책과 시장 참여자들의 예측과 기대
============================================================================================
▣ 중장기 변수의 상수화 가능성 요인들
● 달러화 기반 국제결제 약화를 위한 BRICS의 암중모색 중
● 글로벌 사우스(남반구 신흥국 및 북반구 저위도 제3개발도상국)의 역할 기대 및 가능
-공동결제시스템과 결제기구등 구축으로 신흥국 대표 구심점으로 부각여지
- 아프리카 첨단원자재 공급처로 중요성 커질 전망(아프리카 포함 시 중국의 원자재 점유율 70%)
===========================================================================================
□ 단기적 요인
-달러화 지수는 금리인하 지연 및 무역분쟁 확산에 대한 염려
2/12 | 2/11 | 전일대비 | ||
달러지수 | 107.890 | 107.785 | ||
환율 | 유로/달러 | 1.0388 | 1.0362 | |
달러/엔 | 154.44 | 152.46 | ||
달러/원 | 1,452.44 | 1,452.07 |
▣경제의 도로 금리
□ 국채 금리를 움직이는 요인들
수요, 공급 인플레이션: 완화, 계속 국면을 지속할 것인가의 여부
통화정책:국공채 매각매입, 재할인율 인상인하 지급준비율 인상인하 정책금리 인상인하
양적긴축(QT), 양적완화(QE): 연준의 양적긴축/양적완화의 실시와 철회시점
성장률: 경기 침체 시 중앙은행의 단기금리의 조정 시 수익률 가팔라질 수도
금융의 안전성:금융 시스템에 불안정 조짐시 수익률 곡선이 가팔라질 수도
재정정책: 대규모 재정적자 지속 시 장기금리 상승 압력을 가 할 수도
===========================================================================================
2/12 | 2/11 | 전일대비 | ||
3M | 4.33% | 4.33% | ||
미국 국채 | 2Y | 4.35% | 4.29% | +6bp |
10Y | 4.62% | 4.51% | +11bp |
▣ 지경정학적 리스크:파급정도(ㅂㅌㄷ) → 지속기간(sL)↔ 반전가능성(ㅈㄷ)
상수 요인들
▷트럼프 가자지구 팔레스타인 주민 인근 국가로 이주 후 재건 추진
◁사우디아라비아등 인근국가들 반대성명 발표
▷ 트럼프 대통령 상호관세 부과 추가 조치
▷ 트럼프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폐기 언급 파리기후조약 탈퇴, WHO 탈퇴
◁ 중국 및 BRICS(10개국)및 상하이 협력기수(10개국) 회원국 확대
▷ 트럼프 2기 외교정책은 덴마크 파나마 캐나다 멕시코등 여러 동맹국 대상으로 강압적 외교전개
▷ ▷ 강대국의 위협적일 경우 다른 국가들은 새로운 연대와 협력 모색 중
============================================================================================
변수들
美 무기지원등 우크라이나 주요 광물(희토류)등 교환언급
============================================================================================
금 통한헤지수요증가 :금 현물/선물 간 백워데이션
트럼프 정부 관세 여파의 최소화 차원에서 금을 통해 헤지 하려는 거래들(각국 중앙은행 매입증가) 늘어난 상
유가(WTI) 변동 요인들
공급측면
비 OPEC(미국 캐나다등) 생산량 확대와 OPEC+의 점차적인 감산완화에 따른 초과 공급
정책측면
-미국등 서방국가들 러시아 및 이란 제재강화에 따른 공급차질 우려
-미국 기준금리 인하 지연
수요측면
-중국 수요 둔화우려 지속
재고측면
-석유재고는 석유공급증가와 상대적 약한 석유 증가세로 2025년 중반 이후 재고 누적될 전망
시추 리그수
세일유전 노후화 시추리스수 감소 누적 영향 및 미완결유정 수 감소 시추비용 증가로 생산량 감소 예상
향후 트럼프 대통령의 시추리스수 확대 예상
천연가스 변동 요인들
- 수요는 LNG 수출중심으로 증가
-공급은 시추 리그수 증가세 정체
-계절성 요인으로 동절기 난방용 가스 증가 재고 감소
2/12 | 2/11 | 전일대비 | ||
S&P500 VIX | 15.88 | 16.02 | -0.81% | |
WTI | 71.22 | 73.18 | -2.86% | |
Commodities | Copper | 4.6915 | 4.5980 | +1.97% |
Silver | 32.703 | 32.252 | +1.18% | |
Gold | 2,928.95 | 2,926.45 | -0.12% | |
Natural Gas | 3.544 | 3.507 | +0.71% | |
US Soybeans | 1,028.25 | 1,043.75 | -1.41% |
어제와 오늘의 뉴스 파급력
관세부과의 파급효과
▷선진국 및 신흥국의 보호무역주의 확대등 글로벌 성장률 저하, 물가상승 환율불안등
▷▷ 대중국 관세장벽강화호 중국 저가생산품이 여타 신흥국으로 유입되면 보호무역주의 급속하게 확산가능성
▷ 기업들 제고가 소모되는 3~6개월 뒤부터는 관세의 부작용 효과 나타남
▷ 통화정책측면에서 관세부과는 물가 높여 금리인하 정책지연 및 금리인상 압력으로 작용할 소지
미국 트럼프 행정부 상반된 정책 기조
▷ 관세강화 이민자 추방 연방정부 인력감축 반대로 친기업 화석연료 정책은 기업 낙관론등 상반된 정책은 기업의 투자 및 고용결정에 어려움등 초래
자동차와 반도체 부분에 대한 수입관세부과도 예정
▷ 현실화 시 자동차산업은 외국산 중간재를 많이 투입되는 분야로 비용상승으로 생산둔화를 초래하여 소비자에게 가격전가 되어 물가상승을 여지
중국 경기 추세적 하강 국면
▷ 주택산업 불황과 유휴생산설비 과다등 소비 둔화세 지속, 미국 무역갈등 확대로 FDI유입축소 더욱 심화요인으로 작용
▷ 중국정부 부동산 주도 성장에서 기술 산업 성장전략 전환으로 부동산 회복 어려움 지속
美에 수입되는 철강 알루미늄에 25% 관세부과 3,12일 예외 없이 부과실시
▷ 미국 행정부는 징벌적 관세부과로 이민, 마약등 비무역이슈와 연계와 무역불균형 해소하기 위해 구조적 관세 부과
뮌헨안보회의(2.14~16일) 러우전쟁 종식 방안 공개 :트럼프 행정부
'글로벌 경제흐름 알아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세트럼프 시즌2 8화 (0) | 2025.02.15 |
---|---|
관세트럼프 시즌2 7화 (0) | 2025.02.13 |
관세 트럼프 시즌2 5화 (0) | 2025.02.11 |
관세 트럼프 시즌2 4화 (0) | 2025.02.10 |
관세 트럼프 시즌2 3화 (0) | 2025.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