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efore 지경학적 블록화 주요국 지수
▷ 트럼프 추가 상호관세부과 계획 무역갈등 염려로 하락
◁ EU 랑게 위원장 미국 협상결렬 시 美 빅테크금융회사 상대로 지적재산권 일시 중지 조치 계획 언급
2/7 | 2/6 | 전일대비 | ||
나스닥 | 19,523.40 | 19,791.99 | -1.38% | |
주가지수 | 독일 DAX | 21,787.00 | 21,902.42 | -0.53% |
니케이225 | 38,787.02 | 38,798.37 | -0.72% | |
상해종합 | 3,303.67 | 3,270.66 | +1.67% | |
코스피 | 2,521.92 | 2,536.75 | -0.58% |
▣ 기축통화와 상관성: Before 기축통와에 대한 도전과 응전
□ 환율의 변동요인
경제적 요인
정치적 요인
기술적 요인
중앙은행의 정책과 시장참가자들의 예측과 기대
▷달러화기반 국제결제 약화를 위한 BRICS의 암중모색 중
▷ 글로벌 사우스(남반구 신흥국 및 북반구 저위도에 위치한 제3세계 개발도상국)의 역할의 기대 및 가능성
- 공동결제시스템과 대출기구 등 구축으로 신흥국 대표 구심점으로 부각 여지
- 아프리카 첨단원자재 공급처로 중요성 커질 전망(아프리카 포함 시 중국의 원자재 점유율 70%)
→ 달러화지수는 금리인하지연 및 무역분쟁 확산에 대한 염려로 상승
2/7 | 2/6 | 전일대비 | ||
달러 지수 | 108.33 | 107.59 | +0.33% | |
환율 | 달러/유로 | 1,03294 | 1,0362 | -0.52% |
엔/달러 | 151.358 | 152.07 | -0.07% | |
위안/달러 | 7,2896 | |||
원/달러 | 1,454.00 | 1,447.50 | +0.45% |
▣ 경제의 도로 금리: 국채금리의 움직임 요인들
♣ 인플레이션 :완화, 계속 국면을 지속할 것인가의 여부
♣ 성장률 : 경기 침체 시 중앙은행의 단기금리 조정 시 수익률 곡선이 가팔라질 수도
♣ 금융의 안전성 : 금융 시스템에 불안정한 조심 수익률 곡선이 가팔라질 수도
♣ 재정정책: 대규모 재정적자 지속 시 장기금리 상승 압력을 가할 수도
♣ 양적긴축(QT), 양적완화(QE): 연준의 양적긴축/양적완화의 실시와 철회 시점?
▷ 美국채금리는 고용지표 호조, 인플레이션 염려등 반영되어서 상승
▷ 美 1월 실업률 (4.1% → 4.0%) 감소 :완전고용 상태 (자연실업률 가정하)
2/7 | 2/6 | 전일대비 | ||
3M | 4.36% | 4.34% | +2bp | |
미국 국채 | 2Y | 4.28% | 4.22% | +6bp |
10Y | 4.49% | 4.44% | +5bp |
▣ 지 경 정학적 리스크 :파급정도(ㅂㄷㅌ) → 지속기간(s L)↔ 반전가능성(ㅈㄷ)
▷ 트럼프 가자지구 팔레스타인 주민 인근 국가로 이주 후 개건 추진발표
◁사우디아라비아 등 인근국가 반대성명 발표
▷ 미국 무기지원등 우크라이나 주요 광물(희토류)등 교환언급(금주 젤렌스키 대통령과 회담예정)
▷ 주요 수출국 관세로 인해서 미국 대체 소비시장 확보에 난감
▷ 트럼프 대통령 다수 국가들 대상으로 상호관세 부과 계획
▷ 트럼프 인도 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폐기할 것 공언 :파리기후협약, 세계보건기구(WHO) 탈퇴
◁ 중국 BRICS(5→10개국) 및 상하이협력기구 회원국(6 →10개국) 확대
▷ 금 통한 헤지 수요증가:금 현물/선물 간 백워데이션
트럼프 정부 관세 여파의 최소화차원에서 안전자산 금을 통해 헤지 하려는 거래들(주요 중앙은행 매입증가) 늘어난 상황
2/7 | 2/6 | 전일대비 | ||
S&P500 VIX | 16.54 | 15.77 | +6.71% | |
WTI | 71.00 | 70.61 | +0.55% | |
Copper | 458.9 | 435.4 | +3.08% | |
Commodities | Gold | 2,887.60 | 2,876.70 | +0.38% |
Silver | 32.443 | 32.62 | -0.55% | |
Natural Gas | 3.309 | 3.375 | -2.90% | |
US Soybeans | 1,049.50 | 1,060.40 | -0.99% |
어제와 오늘의 POP UP NEWS
▣ 트럼프관세 위협
▷ 美 모든 국가들에게 관세 10% 부과 시 전 세계 성장률 -0.3% p 내외 하락
▣ 관세부과의 파급효과
▷ 선진국 및 신흥국의 보호무역주의 확대등 글로벌 성장률 저하, 물가상승, 환율불안 등
▷▷ 대중국 관세장벽강화로 중국 저가생산품이 여타 신흥국으로 유입되면 보호무역주의 급속하게 확산 가능성
▷ 기업들의 재고가 소모되는 3~6개월 뒤부터 관세의 부정적 효과 나타남
▷ 통화정책측면: 관세부과등은 물가 높여 금리인하 지연 및 금리인상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
▣ 중국 경기 추세적 하강
▷ 주택산업 불황과 유휴 생산설비 과다등으로 소비 둔화세 지속, 미국 무역갈등 확대는 FDI 유입 축소 더욱 심화 요인작용
美 2/10 수입하는 모든 철강 알루미늄 25% 관세 부과, 2/11 상호관세(EU 자동차등) 방안 발표 언급
▣ 美 주요 경제지표 발표 일정
2.12 1월 CPI
2.13 1월 PPI
▣ 국제안보포럼인 뮌헨안보회의 2.14~16 트럼프행정부 러우 전쟁 종식반안 공개, 가자지구 전쟁 해법 등
'글로벌 경제흐름 알아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세 트럼프 시즌2 5화 (0) | 2025.02.11 |
---|---|
관세 트럼프 시즌2 4화 (0) | 2025.02.10 |
관세 트럼프 시즌2 2화 (2) | 2025.02.07 |
관세 트럼프 시즌2 1화 (0) | 2025.02.06 |
관세 트럼프 시즌2 (0)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