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학(人文學) 도전57

4. 모호함의 미학, 일상성의 타파 1. 모호함의 미학 대상의 경계를 파괴하고 신세계를 창조하는 힘 이는 대상의 성격에 따라 명확하게 규정을 내리지 못함에 따라 거기서 새로운 가치를 상상력으로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여지가 있다 과거에는 나쁜 개념이라 생각할 수도 있는데 창조사회에서는 더 중요한 가치를 가질 수 도 있다. 어떤 시인은 '대상의 경계와 경계의 벽을 깨고 나면 거기에는 생각지도 못한 새로운 공간이 존재한다 그 존재속에서 시가 태어나고 음악이 생성되고 그림이 나타나게 된다.'라고 말했다 또한 기존 가치 경계 파괴하게 되면 백지상태가 되어 모호해진다. 그리고 수많은 질문을 쏟아내게 된다 그렇게 하다 보면 우리 스스로 상상하지도 못한 답을 얻게 되기도 한다. 사례 1. 히딩크 감독의 축구판 새로짜기 히딩크 감독의 한국 축구가 16강에.. 2023. 12. 28.
3. 핵심역량 남과 다른 1%의 독창성, 100% 다른 사람과 차별화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도 어렵다. 그렇다고 완전히 다른 사람과 100% 같은 영역을 가지고 있다면 모방이고 답습이다. 어차피 새로운 가치를 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도 분명히 차별화된 능력을 가지고 있을 때에는 이것을 핵심역량이라고 할 수 있다. 1. 핵심역량 1). 화가의 고흐 위대한 예술가인 한 명인 고흐 거장으로 예술가에 이름을 남길 수 있었던 것은 결국 그 사람만이 할 수 있는 핵심역량(신선함이 느껴지고, 곡선의 활용감, 색의 대비를 강하게 함 등)이 있었기 때문에 예술가의 거장으로 남을 수 있었다 2). 오카노 공업사 아주 작은 공업사 직원포함 6명 이 공업사의 리튬이온 전지 케이스가 있었기에 현재 우리가 스마트폰을 들고 다닐 수가 있다 주 .. 2023. 12. 27.
2. 통찰력 보이지 않는 욕망을 읽어내는 것은 즉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을 잡아내기 위함이다. 비즈니스세계에서 시장에서 일어나서 시장에서 끝나기 때문이다 소비자가 어떤지 소비자의 마음을 읽어내는 능력이 있어야 살아남을 수 있다. 이는 소비자에서 시작되어 소비자로 귀결된다. 그럼 아래 사례들을 통하여 어떻게 잡아내는지 읽어내는지 본질이 무엇인지 어떤 식으로 표현되는지 그리고 무엇이 해야 하는지를 알 수 있을 것입니다 1. 브랑쿠시의 공간 속의 새 새의 본질을 지상에서 비상하는 우화 한 날갯짓으로 속도감으로 표현했다 새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이며 그 모습을 형상화 형태화 할 때 압축적이며 함축적이면서도 함의할 수 있는 본질에 집중했던 것이다. 2. 몬드리안의 브로드웨이 부기우기 뉴욕시의 야경에서 그가 나타내고자.. 2023. 12. 22.
예술 속에 숨겨진 생각의 도구들 1.창조력 1. 창조력 창조력이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인가? 녹슨 자전거의 손잡이 그리고 안장 붙여서 황소머리의 작품을 만든 파블로 피카소는 새로운 가치의 창조 제로상태에서 녹슬고 폐기된 자전거에서 아프리카의 생명력을 다시 복원시킨 것이다 즉 사물을 보는 새로운 통찰력인 것이다. 현대의 창조사회에서는 어느 누구도 보지 못하고 듣지 못하고 깨닫지 못하는 이런 내용들을 찾아내는 힘 예술가의 눈이 절실히 필요한 시기다. 1) 창조경영의 대두 기존제품 서비스 핵심에 상상력과 창조력 기반하여 새로운 제품 서비스 창조하여 새로운 고객가치 창조하는 것이다 2) 역사와 창조력 창조의 물결이 화산폭발처럼 물결을 이룬 경우가 세 번 있었다 첫 번째는 축의시대(BC 세기) 두 번째는 르네상스(15세기)로 흑사병, 대기근 세 번.. 2023. 1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