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학(人文學) 도전57

Love, 베가본드 초고5 - 너 자신을 알고 있는가? 그리스의 격언으로 '너 자신을 알라'는 먼저 나를 알아야만 이는 겉으로 보여지고 살아오면서 알 수 있었던 특성들을 나열해 본다면 키, 시력,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들, 음식, 색깔, 종교 등 다양한 것들이 있지만 먼저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짐으로 시작할 수 있다. "나는 나를 알고 있는가?" "내가 인식하고 알고 있는 내가 나인가?" "나는 나로 있을 수 있는가?" 이는 내 안에 나를 인식하 기 위함이기에 혼자, 홀로, 혼자서, 나 이렇듯 '나는 나 일 뿐이야!"라고 말하곤 하지만 내 안에 나 즉 또 하나의 다른 나가 있음을 알아가기 위함이다 또 하나의 방법으로 노래가사 한 구절을 들어보자 "내가 나를 모르는데 난들 너를 알겠느냐?" 그렇다 나를 알아가기 위해서는 나를 알기 위한.. 2023. 11. 29.
Love, 베가본드 초고4 -너 이고자 하기에 우리로 이고 싶음에 만남이 지속되고 이어지기 위해서는 서로에 대한 인식 나는 나고 너는 너라는 존재인식은 언제나 물리적인 공간의 거리뿐만 아니라 심적공간의 거리를 동반하게 되어 가까워지고 싶으나 가까워질 수 없는 사이가 되어 즉 이웃이나 담 벼락으로 둘려 쳐진 집에서 홀로 살아가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다. 너와 나에서 '우리'라는 언어로 하나되어야 함을 인식함으로 시작된다. 인식은 하나의 작은 행동으로 이어져서 가까이, 가까워짐, 다가옴, 다가감으로 조금씩 조금씩 나는 사라지고 너가 들어와 사라졌던 나와 너는 어느새 우리로 하나 됨을 경험하게 된다 -버림과 채움으로 하나되기 위함 그러기 위해서는 버림과 채움의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컵에 가득 찬 물은 버려야만 가능하다. ' .. 2023. 11. 28.
Love, 베가본드 초고3 사랑의 사전적 의미는 다른 사람을 애틋하게 그리워하고 열렬히 좋아하는 마음 또는 그런 관계 나와 사람을 뜻하고 상대를 헤아린다는 의미인 '사랑(思量)은 생각하고 헤아리다 그리고 이에 더해 'LOVE'는 사랑 즉 존재자체로 여러 가지의 의미를 부여해주기도 하며 '사랑하다'로 행동하게 하는 단어이다. 그러므로 서로에 대한 사랑의 정의를 구하고 묻고 답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그들만의 올바른 답을 찾아가고자 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내가, 네가 우리가 아닌 타인이 정해준 답을 통해서 내 안에 나, 나 안에 너 그리고 우리 안으로 우리를 찾아가고자 하니 답은 답인 것 같으나 정답이 아니기에 방황하고 헤매며 길을 찾아 나선 것 같으나 여전히 그 자리에 있음에 답답함을 더 할 수밖에 없다. 2. 너는 누구이게에 나.. 2023. 11. 27.
Love, 베가본드 초고2 -교집합을 구하다 일단 물건을 선택하게 된다는 것은 내 안에 이끌림에 의해서 움직이게 된다. 이는 분명히 최선의 선택이 아니라도 분명한 것은 여러 가지 선택사항들 사이에서 고르고 골라내고 배제하기에 상호 간의 공통된 속성이 자연스럽게 묻어나서 드러나게 되어 서로에게 행하게 되는 것이고 이를 교감의 화살이라고 한다. -정의에 정의를 구하다(더하다) 놓여짐과 가져 감으로 인해 물리적 공간에서 일단 순간의 지속성은 보장할 수는 없으나 잠시나마 안도와 실망감이 교차하기는 하지만 이제부터가 서로를 알아가는 시간임은 분명해졌다. 우선 서로가 좋아하고 좋아하는 거들 사이에서 선택하고 선택당하 커플이 있다고 가정해 보자. 이들이 다음 단계로 관계의 불완전에서 안정감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서로에게 몇 가지 질문에 답해야.. 2023. 1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