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학(人文學) 도전/인문학 강의

2. 통찰력

by thanks tree 2023. 12. 22.
728x90

  보이지 않는 욕망을 읽어내는 것은 즉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을 잡아내기 위함이다. 비즈니스세계에서 시장에서 일어나서

시장에서 끝나기 때문이다 소비자가 어떤지 소비자의 마음을 읽어내는 능력이 있어야 살아남을 수 있다. 이는 소비자에서 시작되어 소비자로 귀결된다. 그럼 아래 사례들을 통하여 어떻게 잡아내는지 읽어내는지 본질이 무엇인지 어떤 식으로 표현되는지 그리고 무엇이 해야 하는지를 알 수 있을 것입니다

 

 1. 브랑쿠시의 공간 속의 새

 

새의 본질을 지상에서 비상하는 우화 한 날갯짓으로 속도감으로 표현했다  새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이며 그 모습을 형상화 형태화 할 때 압축적이며 함축적이면서도 함의할 수 있는 본질에 집중했던 것이다.

 

 2. 몬드리안의 브로드웨이 부기우기

뉴욕시의 야경에서 그가 나타내고자 표현하고자 함은 직선이 주는 감흥, 아름다움에 매료되어 도시의 블록들을 일정감 있게 리듬감으로 표현하였고 색감을 통해 노란색의 편안함과 따듯함 속에서도 곳곳에 크고 작은 붉은색은 열정적인 도시의 매력인 젊은과 불야성을 그리고 그에 더해에 파란색을 통해서 절제된 자유로움과 깊이 빠져들 것만 같은 감성을 엿볼 수 있다.

 

 3. 다윈의 핀치새

 

핀치새를 보고 모든 종의 탄생은 적자생존의 원칙으로 경쟁에서 살아남는 자가 진화를 통해서 새로운 종으로 정착함을 볼 수 있다

 

4.UN의 묘지

 

1952년 12월에 대통령으로 당선인 아이젠 하워가 한국을 방문하고 싶어 했다 그것은 전쟁 중에 전사한 미국 군인들의 묘지를 참배하고 싶어서였다. 그래서인지 미국군 입장에서는  12월 엄동설한에 전쟁 중이면서 황토밭에 묻혀있는 전사자들의 묘를 그대로 보여줄 수 없는 상황이었다 그래서 한국 토건 건설업자들을 불러 모아서 묘지에 잔디를 입혀달라고 요청을 했다. 

 

 그러자 다들  어떻게 가능하겠냐 지금은 겨울이고 더군다나 잔디를 구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때 단 한 사람이 '가능합니다 제게 해 보이겠습니다' 말했다 그가 바로 정주영 회장이다.   다들 의심을 했다. 어떻게 가능한지, 의아하게 생각했다. 

아이젠 하워 방문 시 황토밭의 묘지였던 그곳에 녹색의 잔디가 덮혀져 있었던 것이다.

 

 사실을 알고 보니 잔디가 아니고 그 황토 묘지에 입힌 것은 낙동강 강둑에 자라는 보리 싹을 가지고 와서  덮였던 것이다

 정주영 회장은 '미군이 정말 원하는 것은 잔디가 아니라 녹색의 색깔이었다' 말했다 즉  본질을 정확히 읽어내고 대안을 찾아 실행한 것이다 

 

 5. 펩시와 코카콜라

 비즈니스에서 영원한 승자는 없다. 시장의 환경이 바뀌는 순간, 그리고 내용을 통찰력으로 바라본다면 승부의 기회를 잡을 수 있다. 펩시는 콜라가 칼슘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빨을 녹여주고 혈관에도 좋지 않고 또한 비만의 원인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이런 사실을 시장에서 알려지게 된다 

 

 펩시는 코카콜라 시장에서 벗어나서 비탄산음료란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서 승리하게 된다.

 

 6. 아이데오 디자인 회사

 대상이 가지고 있는 본질적인 문제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인력자원을 가지고 있는 회사이다  즉 디자인 회사이지만 역사전공자, 문학 전공자, 심리학 전공자 등 새로운 시각과 집단지성으로 문제를 바라볼 때 통합과 분석으로 시장을 바라보는 눈을 가진 것이다 

 

 7. 샤넬

 시장 조사를 믿지 않는다 소비자의 마음도 개의치 않는다 샤넬의 철학은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을 최소 6개월 앞서 가지고 만들어 낸다 즉 소비자에게 미래소비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소비자들은 반응은 '어 , 이거 내가 좋아하게 될 것 같아'이다

 

 8. 아사히 야마 동물원

 

홋카이도에 위치 동물원은  우리 안에 있는 동물들을 보여주는 보편적 사고방식에서 탈피하여 동물과 친화적이고 가까이 느끼고 모습을 자연스럽게 관찰 함으로 유대감을 강화함으로써 스러져가는 동물원을 명소로 재탄생시킨 것이다.

이는 동물이란 원래 본질적인 행동을 관찰하고 다른 동물원과 차별화함(동물 관람객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욕구를 읽어냄)으로써 가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