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학(人文學) 도전/인문학을 읽어감

그들은 협박이라 말하지 않는다

by 2conomist_ 2025. 3. 8.
728x90

수잔 포워드는 UCLA 대학원에 입학하여 정신의학의 사회적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고 그 후 박사학위도 취득했다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하기 싫은 일을 억지로 한 적이 있다면 이 책은 당신을 위한 책이다 

  감정적 협박을 반길 사람은 아무도 없는데도 불구하고 실제로 그것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은 협박자와 피협박자에게 모두 뿌리 깊은 문제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협박이나 공갈을 자신이 원하는 바를 얻는 수단으로 여기는 사람은 무엇이 문제일까? 그 협박의 희생자는 왜 자신을 희생당하도록 내버려 둘까?

 

  감정적 협박이란?

   누구에게나 관계를 망치지 않고자 비위를 맞춰주는 상대가 한두 사람은 있게 마련이다 감정적 협박자들의 기본 협박은 한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내가 원하는 대로 하지 않으면 널 고통스럽게 만들 거야!"

  우리를 잘 알고 있는 그들은 자신이 원하는 바를 얻고자 우리의 취약점을 이용한다 협박자들은 두려움 의무감 죄책감으로 이루어진 '안개'를 만들어내어 우리가 그 속에서 어떤 취급을 받고 있는지 알아볼 수 없게 만든다 그래서 우리는 협박당하고도 오히려 두려움과 죄책감에 휩싸인 채 모든 잘못이 협박자가 아닌 나 자신에게 있는 것처럼 느낀다.

 한번 살펴보자

   원하는 대로 해주지 않으면 관계 단절을 비롯하여 현재의 상황을 어렵게 만들겠다고 위협한다

    그들이 불행한 것은 내가 원하는 것을 해주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암시를 준다

       원하는 것을 들어주면 지금껏 실현되지 않은 엄청난 무언가를 해주겠다고 약속한다

         그들의 바람을 들어주지 않는 내가 나쁜 사람이라는 느낌이 들도록 한다

          그들이 원하는 것을 들어주느냐 마느냐에 따라 돈이나 애정을 보상물로 주거나 뺏는다

 

우리가 협박자의 요구에 저항하면 할수록 그들은 우리와 관계에 더 짙은 안개를 드리운다 결국 우리는 비합리적인 존재로 전락하고 마는가? 감정적 협박의 여섯 단계이다.

         협박자가 대상자에게 요구한다

     대상자가 저항한다

        협박자는 "이제 우릴 위한 최선의 길이야" 또는 " 날 사랑하지 않는구나"라는 식의 압력을 행사한다

           그래도 대상자가 계속 저항하면 협박자는 위협을 가하기 시작한다 "당신이 그렇게 나오면 우리 관계는 완전히 틀                  어지고 말 거야."

            관계를 위태롭게 만들고 싶지 않은 대상자는  결국 협박자의 요구를 들어준다

            협박이 효과가 있다는 걸 안 협박자는 그 후 반복하여 이 방법을 사용한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마지막 단계이다 이제 협박자는 우리의 승낙을 얻어내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터득했다 우리는 계속 희생자가 되어야만 할까?

 

 협박자의 내면세계

  도대체 협박자들은 왜 우리의 관계를 위협하면서까지 자기 마음대로 하려 드는 걸까?

 포워드는 협박자 대부분이 그들에게 중요한 것을 얻으려면 격렬하고 독한 행동을 취해야 한다고 여기는 욕구불만의 소유자라고 설명한다 이는 무언가를 잃어버릴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제 자신을 보호하려고 그렇게 하는 것이다.

  협박자들은 상대를 응징하면서 자신들이 질서를 유지하고 있다고 혹은 상대를 가르치고 있다고 느낀다 많은 협박자들은 애걸 또는 지배의 형태로 상대에게 다가간다 

  포워드는 협박자의 감정적 협박의 원인이 오로지 나한테 있는 것처럼 느껴지더라도 결코 나한테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감정적 협박은 협박자의 불안한 내면에서 비롯된 것이며 자기를 지키려는 그들의 몸부림인 것이다 

 

  내면의 나침반을 지켜라

    우리의 인간관계에서 친밀한 갈등과 격렬한 충돌은 그 처리 방식에 분명한 차이가 있다 갈등의 경우는 사소한 갈등에 이르렀다가도 다시금 근본적이고 확고한 감정의 틀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충돌했을 때는 상대의 자아를 공격하거나 실질적으로 폄훼하며 상대의 희생을 통해 자신의 힘을 키운다.

 포워드는 아무리 심한 갈등 상황일지라도 결코 타인의  특성을 모욕하거나 비난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건강한 갈등을 위해서는 결코 상대방을 '감정적으로 넉다운시키려는' 시도를 해서는 안된다 

  이러한 현실 왜곡은 문제의 초점을 흐리고 모든 기쁨과 선한 의도 관계의 친밀함을 앗아간다 남는 것은 껍데기뿐이며 진실과 배려는 자취를 감춘다  협박자에게 굴복하는 순간 자아의 통합성을 유지하는 길을 일러주는 '내면의 나침반'도 사라진다 그리하여 협박자가 원하는 모습이 되어갈수록 우리의  자아상은 점점 희미해진다.

 

 협박에 맞서는 법

   포워드는 말한다" 인생의 다른 부분에서는 제 몫을 잘 해내는 사람들이 상대방에게 거절당할지라도 모른다는 생각 앞에서는 여지없이 무너져버린다."  버림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은 다른 모든 두려움을 앞선다 감정적 협박자들은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리 안에 이러한 두려움이 싹트도록 만든다.

  포워드는 상대방의 협박에 맞서 나 자신의 정당한 견해를 고수하고 진정한 문제와 대면하며 명확한 한계를 정하고 협박자가 요구하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당당히 말하는 것 이것이 우리에게 요구하는 바이다.

 

♧  감정적 협박은 우리의 인생을 조금씩 갉아먹는다 내 인생에 감정적 협박이 발붙이지 못하도록 경계해야 하는 까닭이다.

 "감정적 협박에 굴복하는 순간 우리의 가치와 행동을 결정해 주는 내면의 나침반인 자아통합성을 상실하는 최악의 상황을 맞는다"

'인문학(人文學) 도전 > 인문학을 읽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적 게임  (0) 2025.03.11
행복한 부부 이혼하는 부부  (1) 2025.03.10
원형과 집단무의식  (1) 2025.03.07
밀턴 에릭슨의 이야기  (0) 2025.03.06
범죄 신호  (1) 2025.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