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학(人文學) 도전/인문학을 읽어감

보이는 어둠: 우울증에대한 회고

by 2conomist_ 2025. 2. 19.
728x90

윌리엄 스타이런 1925년 미국 버지니아 주 뉴포트뉴스에서 태어난 스타이런은 글을 일찍 깨우치고 학창 시절에는 여러 편의 단편소설을 교지에 싣는 등 어려서부터 문학적 재능을 보였다. 그는 듀크 대학을 졸업한 이듬해 미 해병대에 입대하여 제2차 세계대전 막바지에 2년간 중위로 복무했다 전역 후에는 뉴욕의 맥그로힐 출판사 판매부에서 일했다

  스타이런은 이 책 '보이는 어둠'으로 해마다 인본주의에 위대한 공헌을 한 예술가나 과학자에게 수여되는 '프리몽디알 치노 델 듀카상'을 받았다

 

  1985년 파리를 방문한 윌리엄 스타이런은 자신이 우울증에 걸렸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더욱이 아무렇지도 않은 것처럼 행동해야 하는 상황이 증세를 더욱 악화시켰다 '보이는 어둠'은 이때의 일 본인이 직접 우울증과 싸운 경험을 그린 스타이런의 명작이다 

 

설명할 수 없는 증상

 

  우울증을 겪어보지 않은 사람은 그것이 어떤 것인지 상상조차 할 수 없다 그것은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말하는"기분이 우울하다"거나 주기적으로 침울해지는 현상과는 완전히 다르다 만약 사람들이 우울증을 정확히 이해한다면 우울증을 꺼리거나 창피하게 여기는 일은 없을 것이다 우울증 환자는 마치 좀비처럼 걷고 이야기할 수는 있지만 진정한 인간으로 살아가지는 못한다 다음은 스타이런이 정리한 우울증 몇 가지 특징이다

  심한 자기협오 자살충동 불면증 혼란 집중 불능 기억력 쇠퇴 성욕과 식욕감퇴이다 대부분의 우울증 환자들은 아침에 침대에서 일어나지 못할 정도로 기분이 저하됐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나아지는 데 반해 스타이런은 아침에는 기분이 좋았다가 오후 무렵부터 점점 참을 수 없는  감정과 생각이 떠오르며 우울증 증세가 심해졌다고 한다 또한 그는 그날의 기분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생체리듬에 따라 우울증 증세가 시시각각 달라진다는 걸 발견했다

   극단적인 경우 우울증은 말 그대로 사람을 미치게 만든다 이는 호르몬의 불균형이 우리의 기분을 심하게 짓누르는 발작적 기관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자살에 대한 오해

 

스타이런은 알베르 카뮈의 소설에서 강한 문학적 영감을 받았다고 고백한다.카뮈 역시 본인이 우울증을 겪으며 여러 소설에서 자살이란 주제를 파고든 인물이 아니었던가.

  자살한 사람의 가족은 자기 아들 아내의 자살을 쉽게 받아들이지 못한다 자살을 금기시하는 이유에는 자살자가 일을 쉽게 해결하려는 겁쟁이라는 인식도 있다 그러나 자살자들이 극한 선택을 하는 까닭은 단지 더 이상 고통을 견딜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 사회는 신체적 고통을 견디지 못해 자살을 택한 사람은 용서해도 정신적 질병을 못 견디고 자살하는 사람은 용서하지 못한다.

 

 스타이런은 예술가적 유형의 사람들이 우울증에 걸린 확률이 높고 자살 비율도 높다고 지적한다 화가인 빈센트 반고흐 작가로는 버지니아 울프와 어니스트 헤밍웨이 사진작가 다이앤 아버스 등 모두 자살한 예술가들이다 살아 있는 사람은 자살자의 심정을 감히 느낄 수도 상상조차도 할 수 없다.

 

 공동된 원인은 상실감

우울증의 치료가 어려운 이유 중 하나는 이렇다 할 뚜렷한 원인이 없다는 것이다  유전자 화학적 불균형 과거이력 행동 등이 모두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한 가지 원인을 중점적으로 다루다 보면 나머지는 방치되기 쉽다

  스타이런은 하나의 원인이 심각한 우울증을 유발하기도 하지만 그것이 잠재돼 있던 우울증을 발현시키는 계기가 되는 것 같다고 말한다.

 우울증의 첫 신호는 어제까지도 즐거웠던 일이 갑자기 시들해지는 것이다 스타이런은 모든 우울증에는 한 가지 공통된 원인이 자리하고 있다고 말한다 누군가에게 버려지거나 혼자 남게 되거나 사랑하는 사람을 잃는 상실감이 그것이다 스타이런도 열세 살 때 어머니가 돌아가시면서 어린 나이로는 감당하기 힘든 깊은 상실감을 경험했다.

 어느 순간 그는 카뮈와 마찬가지로 "내게 찾아온 우울증은 결코 낯설지 않았고 예고 없이 찾아온 손님도 아니었다 그것은 수십 년간 내 방문을 두드리고 있었다." 그는 선박 기술자였던 아버지 역시 우울증을 겪었다고 고백했다 유전적 기질과 어릴 적 어머니의 죽음 타고난 예술적인 기질등이 스타이런의 우울증을 유발한 대표적인 요인이었던 것이다.

 

 시간이 해결책

우울증이 이미 많이 진행된 사람에게는 정신과 치료가 별 도움이 되지 못한다 스타이런도 그 어떤 정신과 치료나 약물을 써봐도 증세가 호전되지 않았다  스타이런의 우울증은 자발적으로 정신병원에 입원한 다음에야 해결될 기미를 보였다 그가 우울증의 끝이 보이지 않는다고 느끼지만 실제로는 폭풍우처럼 언젠가는 사그라진다는 것이다 지독하게 살아남아 있으면 언젠가는 거기서 벗어날 날이 틀림없이 온다 즉 그 비바람을 뚫고 나온 사람들에게는 유난히 밝고 따뜻한 태양이 기다리고 있다.

 

우울증이 자아감과 관련된 질병이라는 점을 생각할 때 우울증 치료가 즉각적인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

우울증은 뇌 화학물질의 불균형이나 부정적인 내면의 대화에서 비롯된 것 일 수도 있다.

 

 

 

'인문학(人文學) 도전 > 인문학을 읽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행로  (1) 2025.02.21
정신 건강적사고  (1) 2025.02.20
케슈탈트 치료  (2) 2025.02.18
자존감 심리학  (4) 2025.02.17
완전한 행복  (1) 2025.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