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학(人文學) 도전/인문학을 읽어감

정신 건강적사고

by 2conomist_ 2025. 2. 20.
728x90

  앨버트 엘리스는 1913년 펜실베이니아 주 피츠버그에서 태어나 뉴욕에서 자랐다 뉴욕 시립대학 경영학과를 졸업한 후 사업을 하고 소설을 쓰기도 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1942년 인간의 성(性)에 관한 몇 편의 논문을 쓴 엘리스는 컬럼비아 대학 임상심리학과에 입학했다 엘리스의 이론은 미국 심리학계에 더디게 받아들여졌으나 이제 엘리스는 아론 백과 함께 인지행동 이론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로버트 A 하퍼는 '미 결혼 카운슬러 협회'와 '미 심리치료사 학회'의 회장을 지냈다.

 

이 책은 새로운 심리학 형식인 '합리적 정서 치료'에 관한 대중의 관심을 이끌어냈다 인간의 감정이 억압된 욕구나 소망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프로이트의 이론을 정면 반박하며 인간의 감정은 인간의 사고와 생각 태도 믿음에서 비롯된 직접적인 결과라고 주장했다 인간의 심리적 건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신비로운 무의식이 아니라 날마다 우리가 내뱉는 일상의 말이라는 것이다 일상의 습관적 언어는 그 사람의 인생철학을 대표하며 바꿀 의지만 있다면 언제든 쉽게 고칠 수 있다

 물론 감정의 동요에서 벗어나 자신의 인생을 이성적으로 직시하는 일은 쉽지는 않다

 

 나를 결정하는 내면의 언어

 

엘리스와 하퍼는 인간을 언어 창조의 동물로 규정한다 인간은 감정과 사고를 단어와 문장으로 공식화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언어는 거꾸로 인간의 사고와 감정을 형성한다 이처럼 우리가 자신에게 말을 거는 존재라면 어떤 유형의 개인적 변화를 꾀하더라도 우선은 우리 내면에서 어떤 대화가 진행되고 있는지 살펴보아야 하지 않을까? 혹은 그 대화가 나에게 부정적인 작용을 하고 있지는 않을까?

 

  대화치료는 사람들이 진실이라고 여기는 논리속 오류를 찾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테면 불안이나 두려움에 떨고 있는 사람에게는 생각의 흐름을 되짚어서 애초에 불안을  일으킨 생각으로 되돌아가라고 주문한다 그러면 틀림없이"~한다면 정말 끔찍할 거야" "~할까 봐 두려워"라는 식의 말을 되풀이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자기 자신에게 질문을 던지는 일이 처음에는 낯설겠지만 자신에게 던지는 말이 인생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이내 깨닫게 된다 어떤 일에 '끔찍한 불행'이란 이름을 붙인다면 그 일은 정말로 그렇게 다가올 것이다 인간은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내면의 언어에 의존하며 살아가기 때문이다.

 

  다시금 절망에 빠지지 않는법

 

대우주와 원자를 정복한 인간이지만 고작 나쁜 감정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헤매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사랑하는 사람이나 직장을 잃었을 때 슬퍼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그대로 슬픔을 방치한다면 그 감정은 탄력을 받아 더욱 강해 질 것이다 이 감정은 눈덩이처럼 점점 커져서 현재의 상황을 이성적으로 직시하지 못하고 '슬픔이 슬픔을 빚도록'만든다

 

 정신 건강적 사고에 따르면 "인간의 폭발적인 감정은 생각을 되풀이하여 세력을 보강하지 않고서는 결코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없다" 자신에게 '나쁘다'라고 말하는 한 그것은 언제까지나 '나쁜 것'으로 남을 것이다 물론 신체적 고통을 겪는 경우에는 단순히 머릿속으로 무시한다고 해서 고통이 없어지진 않는다 그러나 일단 통증이 사라지고 나면 자극과 감정사이에 어떠한 자동적 연결고리도 남지 않는다.

 모든 지속적이고 부정적 감정에서 벗어나도록 자기 자신에게 말을 걸도록 하는 것이다 엘리스는 오랜 관찰을 통해 일부 사람들은 남몰래 우울해지는 걸 즐기기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우울증에서 벗어나려면 다시는 우울해지지 않겠다고 굳게 결심해야 한다 감정은 그 결심에 따라 변화한다

  

  ♣인간은 이성적일까 아닐까?

    둘 다 맞다 인간은 여전히 명석하면서도 어리석고 편견과 이기심에 가득 찬 행동을 하기 때문이다 

                ♣ 바른 인생의 핵심은 대체로 비합리적 삶의 영적인 감정에 합리성을 부여하는 데 있다 과거에

                   어떤 일을 겪었던지 간에  중요한 것은 현재이며 과거의 고통을 덜어주는 것도 현재이다

          인간에게는 상황에 대한 반응을 통제할 수 있다는 능력이 있다는 것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

 

            ♣ "특정한 생각, 특히 비합리적인 생각이 부정적인 감정을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안다면 절망적 불행에서 벗어나는 비결을 얻는 것이나 다름없다."

              ♣ "실질적인 목적에서 인간이 내뱉은 모든 단어와 문장은

      인간의 생각과 감정을 드러낸 것이나 새로운 생각과 감정을 만들어 낼 것이다."

 

  

'인문학(人文學) 도전 > 인문학을 읽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격의 특성  (1) 2025.02.22
인생행로  (1) 2025.02.21
보이는 어둠: 우울증에대한 회고  (1) 2025.02.19
케슈탈트 치료  (2) 2025.02.18
자존감 심리학  (4) 20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