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학(人文學) 도전/인문학 강의

삼국지연의 1강 시대적 배경과 내용

by 2conomist_ 2024. 1. 2.
728x90

 

1. 삼국지연의 시대적 배경

 

삼국지는 삼국지를 읽을 때마다 나이에 따라 환경에 따라 느끼는 맛이 따르다 그럼에 왜 우리는 삼국지를 읽어야 할까? 질문을 던져본다.

 

1. 삼국지에는 생사고락과 부귀영화의 삶의 철학이 녹아있다.

2. 삶의 지혜를 가르치는 인생의 교과서이다. 

  ▷제갈량이 야밤에 조조의 군대를 이용하여 화살 10만 개를 얻다

  ▷사마의의 침략에 제갈량은 빈성의 누각에 올랐다 (공성계)

  ▷추운 겨울에 모래를 물로 얼려 성을 쌓다(빙사위성법, 氷沙爲城法)

 이는 추운 겨울 물을 뿌리고 얼리고 물을  뿌리고 모래를 얻어져 반복하여 성을 쌓아서 적을 공략하는 병법 이런 것들이야말로 삶의 지혜를 가르치는 흥미진진한 이야기로 볼 수 있다.

 

 3. 현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필독서이다.

 이는 현대인들의 인간관계 및 경영 처세술 통솔책 쇼맨십 이런 것들이 많이 응축되어 있다. 그래서  현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으로써 한 번쯤은 꼭 읽어보아야 한다.

 

 2. <삼국지연의>는 어떤 책일까?

 

1. 사실에 허구를 가미한 역사의 대 서사시이라 할 수 있다.

 삼국지와 삼국지연의에 대해서 혼동하고 있는데 진수가 서술한 (233~297) 삼국지는 삼국시대의 역사를 다룬 정사이다 즉 우리나라의 조선왕조실록 같은 것이다.

나관중(1330~1400)의 <삼국지연의>는 삼국지에 허구를 가미한 소설이다.

 

2. 중국의 명대 4대 기서

삼국연의, 수호전, 서유기, 금병매이고 여기에 홍루몽을 더하면 5대 기서가 된다

<삼국지연의>는 강이요, <수호전>은 호수요, <서유기>는 구름이요, <금병매>는 누각이요, <홍두몽>은 고전의 바다이다. 그중에서도 <삼국지연의>는 최고의 베스트셀러이며 또 우리의 고전 소설에 일부로 정착되어 있다.

 

 3.  <삼국지연의>에 대한 이야기들

1) 삼국지를 세 번 이상 읽은 사람과는 논쟁하지 마라

 이는 삶에 대한 엄청난 지혜를 담고 있기에 대화 논쟁에서 이 길 수 없기 때문이다 즉 세상을 바라보는 넓은 시야와 언변에 논리성을 갖추고 있다.

 

2) 삼국지를 읽지 않은 사람과는 상종도 하지 마라

무식하기에 의사소통이 안되기에

 

3) 小不讀水護, 老不看三國 (소불독수호, 노부간삼국)

 어려서는 수호전을 읽지 못하게 하고 늙어서는 삼국지를 읽지 말아야 한다 이는 수호전은 내용 자체가 반 정부 소설이기에 송나라 정부에 반항하는 것을 그린 소설로 젊은 혈기에 반역을 꿰할 수 있기에 삼국지는 늙은이가 분수도 모르고 나대다가 말년에 크게 망신 당 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삼국지연의> 내용

 

 후한 말 황건적의 난 ~삼국 (위, 촉, 오) 정립 ~ 서진 통일까지 약 100년간을 흥망사를 기록한 역사소설이다. 이야기의 구성은 7할 3 호론이다 즉 7은 사실이요. 3은 허구다  그 당시 사실에 많은 부분의 허구를 집어넣었다. 특히 주요 내용 이야기 구성을 살펴보겠습니다.

 

▷ 후한 말기 황건적과 환관들이 발효와 유비 관우 장비의 도원결의

조조 손견 등의 거사 참여와 영지를 넓히기 위한 전략수립

손권도 강남(양자강 아래쪽)에서 입지를 확보하여 세력을 확장

유비는 서서라는 책사로부터 제갈공명을 추천을 받아 삼고초려하여 책사로 모시고 오게 됨

공명은 적변대전에서 고육책(苦肉策) 연환계(連環計) 화공(火攻)으로 위 촉 오로 삼분정립

관우가 오나라 여몽에게 살해 조조 장비가 차례로 죽음

후사를 부탁받은 공명은 칠종칠금(七從七擒) 하여 남만의 맹획을 복속시키고 출사표를 내고 불벌을 단행

오장원에서 사마중달과 대치하던 중 공명의 전사

강유에게 대권을 맡기나 고군분투

촉한과 오나라는 사마중달의 아들 사마소에게 항복

사마소의 아들 사마염은 위나라 황제 조환을 퇴위시키고 진나라를 건립(천하 재통일)

 

 

'인문학(人文學) 도전 > 인문학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3.도원결의  (3) 2024.01.04
2. 삼국지연의 유래와 미학  (1) 2024.01.03
6. 단순함, 해체와 재구성  (2) 2024.01.01
5.보편성과 융합  (0) 2023.12.30
4. 모호함의 미학, 일상성의 타파  (1) 2023.12.28